300x250
본 포스팅의 내용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강의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 🌱 회원 웹 기능 - 홈화면 추가 HomeController @Controller public class HomeController { @GetMapping("/") public String home(){ return "home"; } } Hello Spring 회원 기능 회원 가입 회원 목록 🍃 회원 웹 기능 - 등록 회원 등록 폼 컨트롤러 MemberController @Controlle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public Membe..
본 포스팅의 내용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강의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 📜 개요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1.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 2.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에 등록하는 방법이 있다. 🌱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 서비스, 도메인 리포지토리를 만들었고 이제는 화면을 붙이고 싶다. 그렇다면 Controller와 View를 정의해야 한다. 먼저, 멤버 컨트롤러를 만들어야 하는데 멤버 컨트롤러가 멤버 서비스를 통해서 회원 가입을 하고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구조에서 의존관계가 형성되는데 멤버 컨트롤러가 멤버 서비스에 의존한다고 표현한다. 가령 멤버 컨트롤러에서 멤버 서비스를 다음과 같..
본 포스팅의 내용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강의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 🌱 비즈니스 요구사항 데이터 : 회원ID, 이름 기능 : 회원 등록, 조회 DB : 아직 데이터 저장소가 선정되지 않음(가상의 시나리오) 컨트롤러 : 웹 MVC의 컨트롤러 서비스 : 핵심 비즈니스 로직 리포지토리 :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도메인 객체를 DB에 저장하고 관리 도메인 : 비즈니스 도메인 객체, 가령 회원, 주문, 쿠폰 등등 주로 DB에 저장되고 관리됨 아직 DB가 선정되지 않아서, 우선 인터페이스로 구현 클래스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계 DB는 RDB, NoSQL 등등 다양한 저장소를 고민 중인 상황으로 가정 개발을 진행하기 위해 초기 단계에선 구현체로 ..
본 포스팅의 내용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강의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 📜 개요 웹을 개발하는 것은 크게 세 가지 방법이 있음 정적 컨텐츠, MVC와 템플릿 엔진, API 🌱 정적 컨텐츠 서버에서 별도의 처리 없이 웹브라우저로 파일을 그대로 내려주는 것. resources/static/hello-static.html 정적 컨텐츠 입니다. Spring은 기본적으로 정적 컨텐츠 기능을 제공함. resources/static 산하에 있는 파일은 정적 컨텐츠로 분류된다. 가령 /hello-static.html 요청이 들어오면 톰캣 서버는 이를 받아서 스프링에 넘긴다. 스프링은 해당 요청에 매핑되는 컨트롤러가 없음을 확인하고 resources/s..
본 포스팅의 내용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강의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 ✍️ 프로젝트 선택 Project: Gradle Project Spring Boot: 2.6.8 Language: Java Packaging: Jar Java: 11 Gradle 설정 plugins {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6.8'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1.RELEASE' id 'java' } group = 'com.kangworld'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7' repositor..
🖊️ 문제 하노이의 탑 하노이 탑(Tower of Hanoi)은 퍼즐의 일종입니다. 세 개의 기둥과 이 기동에 꽂을 수 있는 크기가 다양한 원판들이 있고, 퍼즐을 시작하기 전에는 한 기둥에 원판들이 작은 것이 위에 있도록 순서대로 쌓여 있습니다. 게임의 목적은 다음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한 기둥에 꽂힌 원판들을 그 순서 그대로 다른 기둥으로 옮겨서 다시 쌓는 것입니다. 한 번에 하나의 원판만 옮길 수 있습니다. 큰 원판이 작은 원판 위에 있어서는 안됩니다. 하노이 탑의 세 개의 기둥을 왼쪽 부터 1번, 2번, 3번이라고 하겠습니다. 1번에는 n개의 원판이 있고 이 n개의 원판을 3번 원판으로 최소 횟수로 옮기려고 합니다. 1번 기둥에 있는 원판의 개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개의 원판을 ..